캘리포니아 한국어 교사 자격증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중, 고등학교에서 외국어 과목으로 가르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일반 다른 과목을 가르치는 중에 이중언어 사용 허가를 위한 것이다. 따로 시험을 보는지 잘 모르겠는데, 우선은 한국어 1,2,3을 봐서 외국어 과목으로 가르칠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보통이다.
지난달, 2022년 9월에 시험을 다 보고 한 달이 좀 더 지나고 나서 시험 결과가 나왔다. 3가지 시험을 주말에 한 개씩 보았다. 여기에서는 최근에 본시험이니 먼저 캘리포니아 한국어 교사 자격시험에 대해서 먼저 써 보겠다. 그리고 벼락치기 공부방법을 공유하고자 한다.
Korean Stubtest 1 은 언어학에 대한 시험이다. 나는 영문학과 영문 언어학을 공부했는데, 이 시험은 한국어에 대한 언어학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언어학의 과목인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등에 대한 기본 지식을 쌓은 후에 이를 한국어에 맞게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한국어와 영어학을 비교해서 공부해야 한다. 나는 유튜브에서 한국어 맞춤법에 대한 동영상을 시험 직전에 많이 보고, 국어학에 대한 강의도 계속 보았다. 한국어 맞춤법과 문법에 대해서 공부를 하고 가면 도움이 된다.
Korean Subtest 2 은 한국의 문화와 역사에 대한 시험이다. 이 시험은 한국의 중, 고등학교 역사와 특히 문학을 영어로 시험을 본다는 점에서 조금 익숙하지 않을 수 있다. 시험 직전에 수능 특강으로 고등학교 문학을 공부하고 갔는데 도움이 되었다. 특히 구운몽이나 이순신의 시, 한국 시조와 고려 향가, 근 현대 문학사의 중요한 작가의 작품과 작품 세계에 대해서 논할 수 있으면 좋다.
Korean Subtest 3 은 한국어 능력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에 대한 시험이다. 이 시험은 한국의 수능 시험 수준과 비슷한데, 앞 시험들과 같이 모든 문제는 영어로 나오기 때문에 한국어를 영어로 시험을 봐야 해서 조금 익숙하지 않을 수 있다. 한국의 전반에 대한 사회 문화적으로 분석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시험은 특별히 공부를 하고 가지 않았다.
다음 글에서는 캘리포니아 한국어 교사 시험 자료와 시험 접수 방법 등에 대해서 쓰겠다.
'미국 교사되기 > 미국 교사되기 준비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입시의 힘, 미국 교사 되기에 원동력 (0) | 2022.09.27 |
---|---|
미국 교사 시험 준비 과정 (0) | 2022.09.15 |
미국 대학교/대학원 가기 전 교직 프로그램인지 반드시 확인하기 (0) | 2022.08.27 |
미국 유학과 교사되기 계획과 목표 세우기 (0) | 2022.08.26 |
미국 유학, 더 이상의 아쉬움도 없이 최대 만족을 얻기 (0) | 2022.08.26 |